르세라핌,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장기 흥행 지속 중
2023.07.19
미국 음악 전문 매체 빌보드가 발표한 최신 차트에 따르면, 르세라핌(LE SSERAFIM)의 정규 1집 앨범 'UNFORGIVEN'이 '월드 앨범' 7위, '톱 커런트 앨범 세일즈' 23위, '톱 앨범 세일즈' 30위를 기록했다.
미국 음악 전문 매체 빌보드가 발표한 최신 차트에 따르면, 르세라핌(LE SSERAFIM)의 정규 1집 앨범 'UNFORGIVEN'이 '월드 앨범' 7위, '톱 커런트 앨범 세일즈' 23위, '톱 앨범 세일즈' 30위를 기록했다. 또한, 타이틀곡 'UNFORGIVEN (feat. Nile Rodgers)'은 '빌보드 글로벌(미국 제외)' 80위, '빌보드 글로벌 200' 143위에 올랐으며, 수록곡 '이브, 프시케 그리고 푸른 수염의 아내'는 '빌보드 글로벌(미국 제외)' 41위, '빌보드 글로벌 200' 85위를 차지했다.

르세라핌은 이번 앨범으로 11주 연속 빌보드 차트에 진입하며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타이틀곡과 수록곡이 동시에 사랑받으며 '쌍끌이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그룹의 음악과 퍼포먼스에 대한 관심은 정규 1집 활동이 끝난 뒤에도 여전히 높은 상태다. 특히, 수록곡 '이브, 프시케 그리고 푸른 수염의 아내'는 뮤직비디오 공개 후 고난도 퍼포먼스로 화제를 모았으며 음악방송 무대와 댄스 챌린지까지 이목을 끌었다. 해당 곡은 빌보드 차트에서도 7주 연속 상위권에 랭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 음원 차트에서도 르세라핌의 인기는 진행 중이다. '이브, 프시케 그리고 푸른 수염의 아내'는 멜론 최신 주간 차트에서 4위를 차지하고, 'UNFORGIVEN (feat. Nile Rodgers)'는 7위를 기록했다. 지니와 벅스에서도 상위권에 올라갔다. 이처럼 르세라핌은 발매된 지 두 달이 넘은 시점에도 여전히 차트에서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르세라핌은 오는 8월 12일부터 13일까지 송파구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첫 번째 단독 투어 '2023 LE SSERAFIM TOUR - FLAME RISES'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는 그룹의 투어를 시작하는 첫 번째 이벤트로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김보철 ([email protected])

RANKING NEWS

최신 업데이트 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대규모 관세 부과 조치가 글로벌 금융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표한 대규모 관세 부과 조치가 글로벌 금융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미국의 대표 지수인 S&P500은 하루 만에 5% 가까이 폭락하며 2020년 팬데믹 이후 최악의 낙폭을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공개한 새로운 관세 정책 발표 이후 벌어진 결과로, 동맹국과 경쟁국 모두가 일제히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현지시간 3일 백악관에서 직접 관세율 도표를 공개하며, 새로운 대외 무역 전략을 천명했다. 이 전략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의 연장선으로, 특히 주요 수입 품목에 최대 6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 관세율은 어떻게 산정됐나? 트럼프 전 대통령 측은 “불공정 무역으로 인해 미국 기업과 노동자들이 손해를 보고 있다”며, 그 피해 수준을 계산해 ‘보복성’ 관세율을 산정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특정 산업군에 대한 수입 의존도, 무역 역조 규모, 그리고 외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여부 등이 관세율 책정의 기준으로 사용됐다. 특히 중국, 멕시코, 독일 등 주요 교역국이 타깃이 됐으며, 반도체, 전기차, 철강, 태양광 패널 등의 산업이 집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된다. ▪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산업은? 관세가 가장 강하게 부과되는 산업은 기술 및 제조업 분야다. 미국 내에서는 전기차와 반도체 산업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글로벌 IT 제조사들의 주가는 이미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자동차 업계 역시 주요 부품 수입 비용 상승으로 인해 가격 인상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태양광, 기계 부품, 섬유 등 다양한 산업군도 관세 리스트에 포함돼 있어, 다방면에서 소비자 물가 상승과 공급망 차질이 우려된다. ▪ 국제사회 반응은? 유럽연합(EU)은 트럼프의 이번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위배된다고 지적하며,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옵션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명백한 무역 침략’이라 규정하며 상호보복 관세 가능성을 시사했고, 한국과 일본 역시 외교 경로를 통한 유감 표명과 함께 자국 산업 보호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일본 경제산업성 관계자는 “세계 경제가 안정을 찾는 시기에 미국의 조치는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것”이라며 “미국과의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 경제 전문가들의 전망 월가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글로벌 무역질서를 흔들며 미국 내 경기 둔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와 소비자 가격 상승이 동반될 경우, 장기적인 경기 침체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이번 관세 조치가 1분기 GDP 성장률을 0.6%p 하락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일부 보수 성향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는 미국의 산업 경쟁력을 보호하고 제조업 부흥을 위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을 더 이상 이용하게 두지 않겠다”며, 향후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도 시사한 만큼, 국제 경제 및 정치적 긴장이 한층 더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
2025.04.04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소향로13번길 14-22
등록번호 :
경기 아53458
등록일자 :
2022년 11월 10일
발행 / 편집인 / 청소년보호정책 :
김보철
이메일 :
[email protected]
TEL :
010.4124.7457
Copyright issuemore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